/////////

 

금누리

 

멋질비 . 국민큰배움터 스승

 

겪은일)

보고서/보고서 엮어 펴낸이 . 4321~오늘

홍익멋질모임 우두머리 . 4331~4333

 

지은책)

금누리 1991 . 안그라픽스 . 4324

ㄱ . 안그라픽스 . 4326

슬기로운 눈/두루누리 . 국민큰배움터 . 4338

 

그림잔치)

4310 해부터 홀로 한 멋질잔치는 10 때 마련

나라 안팎에서 떼로 하는 멋잔치에 낀 것은 250 때 넘음

찍은이: 김중만

//////////////////////////////////////////

 

금누리를 말하길:::

 

"금누리는 단단하고 차가운 재료에서도 가장 아름답고 감동적인

인간적 형태를 창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홍가이,

 

"금누리의 작업은 아주 민감한 감각을 바탕으로 한 지적이며

미적인 추구로 보인다.

우리의 시각을 혼란스럽게 만들지 않고 빈틈없는 매끄러움으로

차갑고 이지적이다." 유재길,

 

"금누리는 형태를 만들 때 자연의 오묘함을 활용하고 싶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그것은 어느 일면 '자연적 창조물'이 갖는 특성과

'인간적 창조물'이 갖는 개성 사이에서 어떻든 그 자신의 뚜렷한

창작적 관심과 이념을 선택하겠다는 의식의 한 발로라고 볼 수 있겠으며,

하나의 경고적 발언이라고 지적할 수가 있을 것이다." 윤우학,

 

"금누리의 예술에 대한 열정은 비단 조각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회화, 건축, 공예,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매번의 개인전 때마다 그의 카타로그는 자신의 전시를 소개하는

안내서나 들러리 장식품으로서의 성격을 넘어서 하나의 독립된

장정으로서의 예술품과 진배없다." 정영목,

 

"금누리의 조각이 한국 미술계에서 특별한 자리를 굳히고 있는 이유도,

금누리의 글꼴이 서서히 문화계에 파문을 이르키고 있는 이유도,

실험 잡지 (보고서\보고서)가 끊임없이 화제를 몰고오는 이유도,

실은 금누리의 작은 생각 하나하나가 철저한 자신감을 갖고 시작한 데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김영주,

 

"누리는 좀 별나고 근사하다. 예술가로서 그의 감성은 뛰어나며 섬세하며 철저하다.

그의 작업(연구)실..금누리전자공장(약칭.금공장)..그곳은 그를 읽어낼 수 있는 대표적인 곳..

모든 것이 비스듬히 배열되어 있다..

지구가 기울어져 있는 것처럼 ..지구에 감응한 조각가 ....." 안상수,

 

"nuri gum concentrates on discovering the basic properties of

materials in space, his work is a rigorous, intellectual meditation on

the architecture of conceptual physics." michael cavanaugh

 

"like western sculptors such as david smith and picasso,

nuri gum has chosen to work with unusual materials of their own,

but his work also illustrate a strong sense of design create sculpture

that is lasting, it is almost like permanent suspended animation!" ethel christensen

 

"nuri gum's art is far removed from any preconceived, stereotyped notions of

korean art, these sculptures from the east are symbols that fit a universal sense of

contemporary aesthetics and that remind us of the inevitability

and increasing dependence of humans on high technology." luciana benzi

 

"it is not shocking or earth shaking, rather it is well-conceived, economic,

fun and consistent. this is unto itself if refreshing, originating in

tradition and translated well for the present, nuri gum's art will,

no doubt, develop in to the future with the artist, at a steady,

well thought pace." paull simmons

 

///

 

발자취:::

 

금누리 (1951 ~ ) gumnuri@chollian.net

 

국민대학교 교수 http://gumnuri.kookmin.ac.kr

 

□ 배움터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학사 / 1970-1976

홍익대학교 대학원 조각과 석사 / 1976-1979

국립파리응용미술공예대학 입체조형과 연구과정 마침/ 1979-1981

 

□ 지낸일

 

전자찻집 일렉트로닉카페 안상수와 함께 만듬(1988)

실험 문화, 예술지 보고서-보고서 안상수와 함께 펴냄, 편집인(1988,2 - )

한국미술청년작가회 회장 (1984.1 - 1985.2)

홍익조각회 회장 (1998.1 - 2000.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테크노디자인대학원 교수 (1981.9 - )

 

□ 만든일

 

4343, 금누리 몸글꼴 만듬

4323, 금누리 글꼴 만듬

4326, 구름 글꼴 만듬

4328, 두루쓰기 애지음

 

□ 지은책

 

누리1982, 마당, 19820815, 금누리

gUm, nUrI, 안그라픽스, 19870415, 금누리 + 홍가이

금누리 1991, 안그라픽스, 19911003, 금누리 + 정영목

nuUI gUm scUlptUrE, thEOdOrE mUsEUm Of cOntEmpOrEry Art, 19920411. 금누리 + j. cUrIA.

ㄱ.ㄴ, 안그라픽스, 19931006, 금누리 + 안상수

슬기로운눈 / 두루누리,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50228, 금누리

서로나눈그림 / 두루누리,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50228, 금누리

 

그밖 '4차원 글꼴에 관한 연구'처럼 꼴과 얼개를 다룬 폄글 20 가지

 

□ 홀로 보임

 

2008 금누리 . + . 안상수, 디자인.포트, 서울, 예술의전당

2007 금누리 + 안상수, 서울, 쇳대박물관

2004 '장소/공간' 헤이리, 소담 갤러리

2000-1999 빠리, 샹제리제 대로

1999 '공간의 본질과 관조의 거리' 부산, 시립미술관

1998 '금누리 0.027년전, 서울, 사이갤러리

1993 '금누리,안상수 이중개인전', 서울, 온 갤러리

1992 토론토, 테오도르 현대미술관

1991 서울, 갤러리 미건

1987 서울, 공간미술관

1982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77 '네모꼴 변주', 서울, 청년작가회관

 

□ 떼로 보임

 

2012 오래된 미래, 서울, 문화역서울284

2010 한국현대조각 2010, 서울,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2010 유원지에서 생긴 일, 안산, 경기도미술관

2010 조각 2010, 인천, 트리엔날레 밀라노

2009 한얼, 빅토리아, 세이셀공화국 프랑스문화원

2004 미술 밖 미술,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2002 영혼의 바람, 카투만두 네팔왕립미술관

2001 한글전, 토쿄, 지지지갤러리, 오사카, 디디디갤러리

2000 관객설치, 제6회 죽산국제예술제, 죽산, 웃는돌 야외극장

1999 동아시아 문자예술의 현재, 서울, 예술의 전당 서예관

1998 보고서/보고서 0.1세기 새 선언, 서울, 사이갤러리

1998 불확실성에 대한 탐구, 홍익조각회, 서울, 문예진흥원미술회관

1997 안상수, 이불, 금누리의 사사운동, 서울, 살 뮤지움,

1996 문자의 세계, 예술의 전당 미술관, 서울

1996 도시와 영상,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91 비무장지대 예술문화운동 작업, 서울, 예술의전당

1990 전자카페 통신미술, 서울+산타모니카, 안그라픽스 + 일렉트로닉 카페

1990 한국 현대미술제, 과천, 현대미술관

1989 한국현대미술전, 멕시코시, 국립현대미술관

1989 만리장성과 베니스를 위한 현대미술전, 파리, 드루-몽때느, 북경, 중국역사박물관

1988 88올림픽 기념 현대 미술제,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1987 30/40;기하학이 있는 추상,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79 한국미술청년작가, 파리, 국제미술회관

 

□ 지닌 곳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목포 유달산조각공원,

제주 신천지미술관,

장흥 토탈야외미술관,

서울 계몽문화센터,

서울 한국은행,

서울 안그라픽스,

인천 현대보험,

부산 낙동강변 공원,

토론토 테오도르 현대미술관,

서울 문화관광부,

액상프로방스 바자렐리재단(미반출.압류),

서울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국민대학교

안산 경기미술관

서울 예술의전당

 

□ 책

 

누리1982, 마당, 19820815, 금누리

gUm, nUrI, 안그라픽스, 19870415, 금누리 + 홍가이

금누리 1991, 안그라픽스, 19911003, 금누리 + 정영목

nuUI gUm scUlptUrE, thEOdOrE mUsEUm Of cOntEmpOrEry Art, 19920411. 금누리 + j. cUrIA.

ㄱ.ㅇ, 안그라픽스, 19931006, 금누리 + 안상수

슬기로운눈 / 두루누리,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50228, 금누리

서로나눈그림 / 두루누리,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50228, 금누리

 

/////

 

Gum, NurI ( 1951 ~ )

 

prOf. kOOkmIn UnIv.

 

□ EdUcAtIOn

 

b.f.A hOngIk UnIv. (scUlptUrE)

m.f.A hOngIk UnIv. (scUlptUrE)

rEsEArch stuUdEnt EnsAAmA dE pArIs, (vOlUmE mEtAl)

 

□ sOlO ExhIbItIOn

 

2008 gUm nUrI . + . Ahn sAng-sOO, dEsIgn pOt, Art cEntEr,  sEOUl

2007 gUm nUrI + Ahn sAng-sOO, lOck mUseuEUm, sEOUl

2004 hEIrI, sOdAm gAllErY

2000-1999 Av. dEs chAmps-ElYsEEs pArIs, frAncE

1999 'OrIgInAl spAcE And rOAd Of cOntEmplAtIOn, bUsAn mUsEUm Of Art, bUsAn

1998 'gUm nUrI 0.027YEA, sAI gAllErY, sEOUl

1993 'nUrI gUm And sAng-sOO Ahn's dOUblE-sOlO ExhIbItIOn', gAllErY On, sEOUl

1992 thEOdOrE mUsEUm, tOrOntO, cAnAndA

1991 gAllErY mEEgUn, sEOUl

1987 'nUrI 1987', spAcE gAllErY, sEOUl

1982 'nUrI 1982', fInE Arts cEntEr, sEOUl

1977 'sqUArE ArIAtIOn', kOrEA YOUng ArtIsts cEntEr, sEOUl

 

□ GrOUp ExhIbItIOn

 

2012 AncIEnt fUtUrEs, sEOUl, mUsEUm Of cUltUrE sEOUl 284

2010 cOntEmpOrArY kOrEAn scUlptUrE 2010, sEOUl, sEOUl mUsEUm Of Art

2010 wOrks In thE OpEn AIr, AnsAn, gYUnggI mUsEUm Of mOdErn Art

2010 scUlptUrE 2010, InchEOn, trIEnnAlE mIlAnO

2009 sprIt Of kOrEA, vIctOrIA, sEYchEllEs, AllIAncE frAncAIsE

2004 whAt hAppEns bEtwEEn Art And popUlAr cUltUr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2002 WInds Of thE spIrIt, kAtUmAndU, thE nEpAl AssOcIatIOn Of fInE Arts hAll

 

2001 hAngUl, ggg gAllErY, tOkYO, ddd gAllErY, OsAkA

2000 InstAllAtIOn On spEctAtOrs, thE 6th jOOksAn IntErnAtIOnAl Art fEstIvAl, jOOksAn

1999 Est AsIAn lEttEr Art In tOdAY, sEOUl Art cEntEr

1998 pErformancEs and InstallatIon, jooksan

1998 ExhIbItIOn Of bOgOsEO/bOgOsEO's 10th AnnIvErsArY, mAnIfEstO fOr 0,1 cEntUrY, sAI gAllErY, sEOUl

1997 sAng-sOO Ahn, bUl lEE, nUrI gUm, trIplE ExhIbItIUn: 4.4 mUvEmEnt, sAl mUsEUm, sEOUl

1996 lEttErs Of thE WOrld, Art cEntEr, sEOUl

1996 cItY And ImAgE, cItIzEn mUsEUm, sEOUl

1991 dOcUmEntAtIOn In kOrEA, frOnt d.m.z, Art cEntEr, sEOUl

1990 ElEctrOnIc cOmmUnIcAtIOn Art, sEOUl + sAntA mOnIcA, Ahn grAphIcs + ElEctrOnIc cAfE

1990 kOrEAn cOntEmpOrArY Art,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1989 kOrEAn cOntEmpOrArY Arts, mUsEUm Of mOdErn Art, mExIcO cItY

1989 cOntEmpOrArY Art AUctIOn fOr thE bEnEfIt Of thE sAfEgUArd Of vEnIcE And grEAt WAll Of chInA, drOUOt, pArIs, pAlAcE Of thE mUsEUms, bEIjIng

1988 cOntEmpOrArY Art fOr '88 sEOUl OlYmpIc gAm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1987 30/40, AbstrAct WIth gEOmEtrY, fInE Arts cEntEr, sEOUl

1979 sAlOn sUrIndEpEndAnts, luxEmbourg musEum. pArIs

 

□ crEAtE

 

2010, crEAtEd tYpEfAcE gUmnUrI bOdY

1995, crEAtEd wrItIng mEthOd dUrU

1993, crEAtEd tYpEfAcE gUrEUm

1990, crEAtEd tYpEfAcE gUmnUrI

 

□ PublIcAtIOn

 

nUrI1982, mAdAng, 19820815, gUm nUrI

gUm,nUrI, Ahn grAphIcs, 19870415, gUm nUrI + HOng GUY

GUm NUrI 1991, Ahn grAphIcs, 19911003, gUm nUrI + jEOng YOUng mOk

nUrI gUm scUlptUrE, thEOdOrE mUsEUm Of cOntEmpOrArY Art, 19920411. gUm nUrI + j. cUrIA.

ㄱ.ㄴ - bOgOsEO/bOgOsEO -8, Ahn grAphIcs, 19931006, gUm nUrI + Ahn sAng-sOO

sUlgIrOunnUn/dUrUnUrI, kOOkmIn UnIv., 20050228, gUm nUri

sEOrOnAnUngrIm/dUrUnUrI, kOOkmIn UnIv., 20050228, gUm nUri

 

///

 

7L2l

-T

D

 

g n ri ...artist... http://gumnuri.kookmin.ac.kr ... ph: 82 2 11 319 4624

u u

m

 


  찍은이: 안상수



/////

 
 
 
 
 
 
 
 
 
 
 
 
 
 
 
 
 
 
 
 
 
 
 
 
 
 
 
 
 
 
gumnurik.res
 
금누리 . .  .   .    . 

 
금누리는 한국에서 태어났고 홍익대 미술대학 조소과와 대학원을 그리고
파리 응용미술 공예대학 입체조형과 연구과정을 졸업했다.
현재는 국민대 테크노디자인대학원 교수로 있다.
 
생년월일: 1951년 9월 13일 
본적: 부산시 강서구 대저 1동 2650
주소: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 미성아파트 29동 603호
작업실: 서울시
 
전화:(02)3446-2206(집),(02)910-4624(연구실)
휴대전화: 011-319-4624, 전자사서함:  gumnuri@chollian.net
gumnuri@kookmin.ac.kr 
금누리전자공간: http://gumnuri.kookmin.ac.kr
 
                                   
"금누리는 단단하고 차가운 재료에서도 가장 아름답고 감동적인
인간적 형태를 창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홍가이,
 
"금누리의 작업은 아주 민감한 감각을 바탕으로 한 지적이며
미적인 추구로 보인다.
우리의 시각을 혼란스럽게 만들지 않고 빈틈없는 매끄러움으로
차갑고 이지적이다." 유재길,
 
"금누리는 형태를 만들 때 자연의 오묘함을 활용하고 싶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그것은 어느 일면 '자연적 창조물'이 갖는 특성과
'인간적 창조물'이 갖는 개성 사이에서 어떻든 그 자신의 뚜렷한
창작적 관심과 이념을 선택하겠다는 의식의 한 발로라고 볼 수 있겠으며,
하나의 경고적 발언이라고 지적할 수가 있을 것이다." 윤우학,
 
"금누리의 예술에 대한 열정은 비단 조각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회화, 건축, 공예,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매번의 개인전 때마다 그의 카타로그는 자신의 전시를 소개하는
안내서나 들러리 장식품으로서의 성격을 넘어서 하나의 독립된
장정으로서의 예술품과 진배없다." 정영목,
 
"금누리의 조각이 한국 미술계에서 특별한 자리를 굳히고 있는 이유도,
금누리의 글꼴이 서서히 문화계에 파문을 이르키고 있는 이유도,
실험 잡지 (보고서\보고서)가 끊임없이 화제를 몰고오는 이유도,
실은 금누리의 작은 생각 하나하나가 철저한 자신감을 갖고 시작한 데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김영주,
 
"nuri gum concentrates on discovering the basic properties of
materials in space, his work is a rigorous, intellectual meditation on
the architecture of conceptual physics." michael cavanaugh
 
"like western sculptors such as david smith and picasso,
nuri gum has chosen to work with unusual materials of their own,
but his work also illustrate a strong sense of design create sculpture
that is lasting, it is almost like permanent suspended animation!" ethel christensen
 
"nuri gum's art is far removed from any preconceived, stereotyped notions of
korean art, these sculptures from the east are symbols that fit a universal sense of
contemporary aesthetics and that remind us of the inevitability
and increasing dependence of humans on high technology." luciana benzi
 
"it is not shocking or earth shaking, rather it is well-conceived, economic,
fun and consistent. this is unto itself if refreshing, originating in
tradition and translated well for the present, nuri gum's art will,
no doubt, develop in to the future with the artist, at a steady,
well thought pace." paull simmons
 
<학력>
서울예술고등학교 미술과 졸업 / 1968-1970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학사과정 졸업 / 1970-1976
홍익대학교 대학원 조각과 석사과정 졸업 / 1976-1979
국립파리응용미술공예대학 입체조형과 연구과정 졸업/ 1979-1981
 
<경력>
주식회사 토탈디자인 편집장 건축,미술,디자인 "꾸밈" (1976.10-1979.5)
인덕공업전문대학 건축디자인과 강사(1977.8-1978.2)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건축과 강사(1978.3-1979.2)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조소과 강사(1987.9-1993.2)
전자찻집 일렉트로닉카페 공동설립+안상수(1988-1991.?)
건국대학교 대학원 강사(1988.9-   )
 
홍익대학교 대학원 강사(1990.9-   )
경희대학교 대학원 강사(1992.8-1993.2)
문화,예술지 보고서-보고서 편집인(1988,2-   )
한국미술청년작가회 회장 (1984.1-1985.2)
한국미술협회 아시아미술가협회추진위 이사(1995 - 1998)
 
홍익조각회 부회장 (1996.1-1998.1)
주식회사 안그라픽스 이사 (1997 -      )
홍익조각회 회장 (1998.1-2000.1  )
한국미술협회 정보화추진위원회 위원장(1998.2 -     )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교수 (1981.9-현직위:교수)
 
<작품발표...개인전>
1977.05.30   '네모꼴 변주전', 서울, 청년작가회관
1982.09.17   '누리 1982',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87.04.15   '누리 1987', 서울, 공간미술관
1991.10.03   '누리 1991', 서울, 갤러리 미건
1992.04.11   '누리 1992', 토론토, 테오도르 현대미술관
 
1993.10.09   '금누리,안상수 이중개인전', 서울, 온갤러리
1998.09.09   '금누리 0.027년전, 서울, 사이갤러리
1999.03.09   '공간의 본질과 관조의 거리' 부산, 시립미술관
1999.12.31   '1999.빠리.2000' 빠리, 샹제리제 대로
 
<작품발표...단체전>
1975.09.01   야외조각전, 서울, 홍익대학교 야외전시장
1976.02.17   제2회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1976.05.20   한국미술청년작가전, 광주, 전일미술관
1976.08.02   야외작품 발표, 충남, 안면도 해변,
1977.04.02   한국미술청년작가회관 개관 기념전, 서울, 청년작가회관
 
1977.04.18   조각 21인전, 서울, 청년작가회관
1977.06.05   시형전, 서울, 청년작가회관
1977.12.19   24인의 실험작가전, 서울, 청년작가전
1978.04.00   제7회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춘천, 도립문화원
1978.05.00   제8회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충주, 도립문화원
1978.06.00   제9회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대전, 대전화랑
 
1978.07.00   실험작가21인전 서울, 청년작가회관
1978.07.00   청년작가하계소품전, 서울, 청년작가회관
1978.09.14   서울예고 창립25주년 기념전, 서울, 세종문화회관
1978.12.02   제10회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1978.12.00   청년미술관 건립기금전, 서울, 청년작가회관
1979.06.00   74-77전, 서울, 청년작가회관
 
1979.08.01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제주, 칼호텔
1979.08.24   시형전,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81.12.18   제13회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서울, 문예진흥원미술회관
1982.05.00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춘천, 시립문화원
1982.05.07   시형전,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82.06.11   홍익조각회전,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82.08.02   사변연습전, 서울, 공간미술관
1982.12.24   제19회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서울, 문예진흥원미술회관
1983.01.14   제3미술관 개관기념전, 서울, 청년미술관
1983.02.12   청년작가전,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1983.03.02   청년미술관 개관기념전, 서울, 청년미술관
1983.03.09   30대작가전, 서울, 청년미술관
 
1983.07.00   환경조각을 위한 드로윙전, 서울, 청년미술관
1983.05.18   시형조각전, 서울, 청년미술관
1983.05.02   서울예고 창립 30주년 기념전, 서울, 세종문화회관
1983.07.20   제21회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서울, 청년미술관
1983.08.31   현대조각 11인전, 서울, 윤 갤러리
1984.01.11   한국미술청년작가회 신년 소품전, 서울, 청년미술관
 
1984.03.01   환경조각을 위한 에스키스전, 서울, 청년미술관
1984.06.00   환경조각을 위한 에스키스전, 제주, 동인미술관
1984.08.03   제22회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서울, 문예진흥원미술회관
1984.12.12   '84 한국미술청년작가회 동계소품전, 서울, 청년미술관
1985.01.30   '85 한국미술청년작가회 신년소품전, 서울, 청년미술관
1985.06.17   서울갤러리 개관기념 조각초대전, 서울, 서울신문갤러리
 
1985.10.19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강릉, 시립문화원
1985.10.21   한국조각가협회 창립전, 서울,서울신문 갤러리
1985.10.00   중앙청역 미술전시장 개관기념전, 서울, 중앙청역전시장
1985.11.16   서울, 도쿄 작가들의 11월전, 서울, 한강갤러리
1986.03.12   '86 한국미술청년작가회 명예회원전, 서울, 청년미술관
1986.04.18   홍익조각회전,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86.06.21   한국미술청년작가회  대전전, 대전, 대전문화원
1986.07.04   오늘의 현대조각가 10인전, 서울, 바탕골미술관
1986.09.11   예홍전, 서울, 백상기념관
1986.09.16   제26회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서울, 서울갤러리
1987.04.25   신천지미술관 개관 기념전, 제주, 신천지미술관
1987.05.25   토탈미술관 4주년기념 한국조각의 오늘전, 장흥, 토탈미술관
 
1987.06.13   건축가 고 김수근 교수 1주기 추모 기획전, 서울, 공간미술관
1987.08.14   제10회 시형조각회전,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관
1987.08.28   30/40;기하학이 있는 추상전,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88.09.10   88올림픽 기념 현대 미술제,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1988.12.00   한국 미술 청년작가회전, 과천, 국립현대 미술관
1989.06.09   한국현대미술-80년대의 정황, 서울, 동숭아트센터
 
1989.07.02   빛과 움직임전, 서울, 무역센터 현대미술관
1990.03.02   제21회 홍익조각회전,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90.05.04   청송야외조각전, 서울, 연세대학교
1990.05.18   한국조각가협회전,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90.06.27   '90 현대 조각전, 서울, 조형 갤러리
1990.09.08   한국화와 조각의 10인전, 서울, 영동화랑
 
1990.09.17   전자카페 통신미술,서울+로스앤젤스, 안그라픽스 + 일렉트로닉 카페 
1990.12.15   이미지와 추상의 오늘전, 서울, 데코미술관
1990.08.02   한국 현대미술제, 과천, 현대미술관
1991.03.29   광장전,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91.04.10   의식과 표현의 확산전, 서울, 롯데미술관
1991.06.19   비무장지대 예술문화운동 작업전, 서울, 예술의전당
1991.12.06   한국 현대 미술전, 서울, 갤러리 미건
 
1992.06.04   한국 현대미술제, 과천, 현대미술관
1992.07.15   '92 광장전, 예맥화랑, 서울
1992.07.23   '92 현대조형전, 제주, 신천지미술관
1992.09.04   한국조각가협회전, 서울,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92,09.23   에꼴 드 서울전, 서울, 관훈미술관,
1992.10.09   한글 주제 전, 서울, 서림화랑
 
1992.11.27   떼오 앤 페트 콜랙숀 서울전, 서울, 공평아트센터,
1993.08.11   비무장지대 예술문화운동 작업전, 서울, 시립미술관
1994.12.01   3030전, 서울, 김내현화랑
1995.02.17   '95 광장전, 서울, 문에진흥원 미술회관
1995.03.22   한국 조각의 오늘전, 서울, 종로갤러리
1995.10.10   blue wave 전, 서울, 청화랑
 
1995.12.11   작은 조각전, 서울, 유경갤러리
1996.03.01   홍익조각회전.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96.10.07   도시와 영상,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96.10.17   문자의 세계전, 예술의 전당 미술관, 서울
1996.11.19   제9회 성북미술전, 성북구청 강당, 서울
1996,12,04   한국 현대미술 현재와 미래, 홍익대 현대미술관, 서울
 
1996.12.11   조각그룹 광장전, 인사갤러리, 서울
1997.04.04   안상수,이불,금누리 3인전 '사사운동'서울, 살뮤지움,
1997.08.01   서울,나고야 입체조형의 교류전,서울  원서,종로갤러리,
1997.08.21   조각그룹 광장 소품전, 원서갤러리, 서울
1997.10.01   한일조각 6인 교류전, 목암미술관, 고양
 
1997.11.12   '97 광장전, 종로갤러리, 서울
1998.03.06   불확실성에 대한 탐구전, 홍익조각회, 서울, 문예진흥원미술회관
1998.04.15   200인 조각가 소형 작품전, 서울, 선화랑
1998.06.13   공연 속의 조각전, 서울, 국립중앙극장 문화의 뜰 + 실내로비?
1998.09.17   보고서/보고서 0.1세기 새 선언전, 서울, 사이갤러리
 
1998.11.15   설치와 퍼포만스, 웃는돌 야외공연장, 죽산
1999.03.03   제30회 홍익조각회전, 서울, 서울시립미술관600년기념관
1999.09-04   동아시아 문자예술의 현재전, 서울, 예술의 전당 서예관
2000.06-15   관객설치 ,제6회 죽산국제예술제,웃는돌, 죽산
 
<작품발표...해외전>
1987.08.06   한국미술청년작가전, 필라델피아, 발치인스티튜트미술관
1979.02.13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파리, 국제미술회관
1979.03.21   살롱 쉬르앙빵당, 파리, 룩셈부르그 미술관
1981.03.26   한국현대작가전, 파리, 한국문화원
1984.02.27   한국현대조각 단면전, 도쿄, 한국문화원
 
1984.08.02   제23회 올림픽 기념 홍익조각회전, 로스엔젤스한국문화원
1986.04.07   서울 현대미술 6인전, 도쿄, 갤러리 K
1989.02.14   한국현대미술전, 멕시코시, 국립현대미술관
1989.03.30   만리장성과 베니스를 위한 현대미술전, 파리, 드루-몽때느
1989.05.06   만리장성과 베니스를 위한 현대미술전, 북경, 중국역사박물관
 
1990.09.17   전자카페 통신미술,서울+로스앤젤스, 안그라픽스 + 일렉트로닉 카페 
1991.12.06   한국 현대 미술전, 액상프로방스, 바자렐리재단미술관
 
1994.0?.0?   책을 소재로한 미술전. 바르샤바. 베르린
1996.08.27   나고야.서울.입체조형의 교류전, 나고야, 시민갤러리,
2000.01.15   머리조각 ㅇㅅㅅ 전, 서울,파사데나,델아비브, 안상수 머리
 
 
<작품소장...공공기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목포시립조각공원, 목포
신천지미술관, 제주
토탈야외미술관, 장흥
계몽문화센터, 서울
 
한국은행, 서울
안그라픽스, 서울
현대 보험 사옥, 인천
낙동강변 공원, 부산
테오도르 현대미술관, 토론토
문화체육부, 서울
 
바자렐리재단(미반출.압류), 액상프로방스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서울
 
<디자인>
타입패이스; 금누리 글꼴 발명, 1991,2
구름 글꼴 발명, 1993,10
두루쓰기 창안, 1995,3
           
무대디자인; 오페라 '파우스트' 서울, 국립극장, 1975.9.26
무대디자인; 오페라 '사랑의 묘약' 서울, 국립극장, 1977.10.1
로고타입; 주간 '디자인 뉴스' 제호 디자인, 1991
 
표지디자인; 한국의 자원 배분과 무역정책, 황남일 지음, 서울, 단국대 출판부, 1991
표지디자인; 무역정책론, 황남일 지음, 서울, 대원사, 1994
표지디자인; 월간 '디자인' 1996.11
표지디자인; 무역보험의 이론과 실제,황남일, 이홍무 지음, 서울, 무역경영사, 1997
 
<저서>
누리1982, 마당, 19820815, 금누리
gum,nuri, 안그라픽스, 19870415, 금누리 + 홍가이
금누리 1991, 안그라픽스, 19911003, 금누리 + 정영목
nuri gum sculpture, theodore museum of contemporary art, 19920411. 금누리 + j. curia.
ㄱ.ㅇ -보고서\보고서 -8, 안그라픽스, 19931006, 금누리 + 안상수
19940609 - 보고서\보고서 -9. 안그라픽스, 19941022, 금누리 + 안상수.
디자인 사전\안그라픽스.19941131.금누리 + 68
 
<논문>
환경속의 조각에 관한 연구(1979.2. 석사학위 논문)
평면형태의 연속적 배열을 통한 3차 공간형태의 응용(1983.2. 조형논총)
전환형태에 관한 연구 (1984.3. 조형논총)
조형 공간에서 키네틱 아트에 관한 연구 (1985.2. 조형논총)
입체형태 지각에 관한 연구 (1986.3.조형논총)
 
환경 조형에 관한 연구 (1987.2 조형논총)
입체 형태의 평면 표현에 관한 연구 (1989.2.조형논총)
움직임에 대한 형태 지각의 변화에 관한 연구 (1990.2,조형논총)
글자꼴의 입체적 표현에 관한 연구 -금누리체의 개발을중심으로- (1991.2,조형논총)
과학적 사고의 조형적 전환에 관한 연구 (1993.2. 조형논총)
 
입체의 양감과 표면의 조형적 상관성에 관한 연구
-새로운 조형개념 정리를 위한 지적 조형 영역과 그 사고의 확산- (1994,2, 조형논총)
4차원 글꼴에 관한 연구- 움직이는 구름 글꼴 - (1995,2, 조형논총)
전자시대의 조형예술에 있어서 실험적 사고에 관한 연구 (1996,2, 조형논총)
전자 문자를 통한 비시각적 공간지각에 관한 연구 (1997,2, 조형논총)
표준자판 변용 조형에 관한 연구 (1998,2, 조형논총)
 
<모뉴멘트 기획 참여>
2000년대 서울 도시계획 조형부문 연구보고서 연구원 (K조형연구소) 1977
독립기념관 전시 기본계획 연구원 (독립기념관 건립추진 위원회) 1984
올림픽 대교 지명공모(우보기술단) 기획 및 자문위원 1985
세비아 세계박람회 한국관 지명설계(우원 건축) 자문위원 1991
 
<심의, 심사 참여>
서울시 제2기 지하철 역사 예술장식품 심의위원 1993
대구시 지하철 역사 예술장식품 심의위원 1994
인천시 지하철 역사 예술장식품 심의위원 1994
한국전력 수자원 전시관 시설 심의위원 1994
대구경찰청 환경조형물 심의위원 1996.3.28
 
제2회 오토데스크 컴퓨터디자인대전 심사위원 1996
광주시 지하철 역사 예술장식품 심의위원 1997
제3회 오토데스크 컴퓨터디자인대전 심사위원장 1997
제4회 한국 컴퓨터디자인대전 심사위원 1998.2.25
 
<특강>
금누리 작품 세계와 환경조각, 건축가단체 금우회,테크노.
형태는 바르게 보이는 것인가, 한국인태리어디자인 협회,케비에스 연수관.
환경조각, 영관급 이상 장교들 대상, 전쟁기념관.
형태와 공간은 바르게 보이는 것인가, 중등학교 미술교사 대상, 국립현대미술관.
예술+금누리+테크놀로지, 미술가와 애호가 대상, 국립현대미술관 + 한국과학기술재단.19911220.
 
지혜로운 눈, 건축 전공 대학원생과 교수 대상, 경기대학교
과학적 사고의 조형적 전환, 디자이너 대상, 안그라픽스
보고서\보고서에 대하여, 학생과 교수 대상, 계원조형예술학교.19941207.
시각언어, 학생과 튜터 대상, 서울 건축학교.19950307
지혜로운 눈, 건축과 재학생과 교수, 서원대학교.1995.1205
 
현대미술, 국민대 경영대학원, 1996
지혜로운 눈과 미술의 이해, 단국대 경영대학원, 1997
금누리의 조형교육, 중등학교 미술교사 대상, 환기미술관, 1998.5
디지탈 시대의 조형적 사고, 국민대 테크노디자인대학원, 2000.3
디지탈과 문화, 30,40대 지도층, 새사회네트워크, 2000.3.20
 
새로운 발상을 향해, 미술인과 애호가 대상, 환기미술관, 2000.5.20
건축가는 어디에 있어야 하는가, 한국건축학교, 2000.6.26
 
gumnurie.res
resume
 
금누리
 
forename: nuri  누리
surname: gum  금 
sex: male
birthday: 13 sep., 1951   
birth place: busan   
nationality: korea
 
address: 29dong 603ho miseong apt. abgujeongdong gangnamgu, seoul korea
         phone: +82-2-3446-2206
         e-mail: gumnuri@chollian.net
         e-site: http://gumnuri.kookmin.ac.kr
 
atelier: 683-1, jeongneung, seongbug, seoul 136-103, korea
         phone: +82-2-916-6333
         fax.: +82-2-943-9456
 
office: kookmin univ. 861-1, seongbug, seoul 136-702, korea
        phone: +82-2-910-4624
        fax: +82-2-910-4589
 
paris9: faxphone +33-1-46-51-66-34
 
school career:
 
1968.3-1970.2   seoul high school of music and art
1970.3-1976.2   department of sculpture at hong-ik university
1976.3-1979.2   graduate school of fine art at hong-ik university
1979.9-1981.7   department of volume at Ecole nationale supErieure des arts appliquEs et des
                mEtiers d'art de paris
 
 
career:
 
1976.10-1979.5  editor in chief of the magazine "ggumim"
                (magazine for arts, design and architecture)
1977.8-1978.2   lectured at in-deok industrial college
1978.3-1979.2   lectured at the college of architecture and design,kook-min university
1987.9-1991.2   lectured at the college of arts, 
                jung-ang university
1988.9-1992.2   lectured at the graduate school of living culture, geon-guk university
 
1984.1-1985.2   president of korean young artists association
1986.2-         honorary member of korean young artists association
1988.1-         editor of arts magazine "bogoseo/bogoseo"
1988.3-1991.2   founder of electronic cafe in seoul
1996.1-1998.1   vice president of hongik sculptor association
1997.1-         director of ahngraphics co.,ltd
1998.1-         president of hongik sculptor association
1998.2-         chairman of the information dept. at korean artist association
1981.9-         professor of the college of architecture and design, kook-min university
                professor at the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gum has shown, it is possible to create the most beautiful and touching human forms out of
hard, cold material. what does it indicate? perhaps that with good sense and a little humor
a humane world can still be forged out of technological impersonalness"  kai hong
 
"gumnuri's work is based on sensitivly what seeks for intellectual and artistic senses.
it doesn't make our vision confused and filled with smoothness, coldness, intellectualness." jea gil, yoo?
 
"when gumnuri makes shape, he advocate he doesn't want to use nature's profound what somewhat between
nature's creation quality and individuality of humanic creation from this he vividly tries to
choose creative interest and ideolegy what could lead to an expression of awareness and indication what
is one of caution proposal." woonhak, youn
 
"gumnuri's theatricality seems to come from his thought of the total works of art (gesamkunstwerk).
not only is he concerned with such effects for his sculpture but he has also considered his works in
the light of other fields of art on the multiple levels.
just as his works reveal a painterly-quality he is also interested in design, crafts, architecture and so on.
his design for the exhibition catalog is not simply a booklet but a complete work of art." young mok, chung
 
"a reason gumnuri's sculpture is special place in korean art would,
a reason gumnuri's type letter design cause sensation in cultural would gradually,
a reason experimental magazine(bogoseo₩bogoseo) is brought into conversation perpetually,
all of these things are from start with his firm confidence in each one of little thought." young joo, kim?
 
"nuri gum concentrates on discovering the basic properties of materials in space, his work is a rigorous,
intellectual meditation on the architecture of conceptual physics." michael cavanaugh
 
"like western sculptors such as david smith and picasso, nuri gum has chosen to work with
unusual materials of their own, but his work also illustrate a strong sense of
design create sculpture that is lasting, it is almost like permanent suspended animation!" ethel christensen
 
"nuri gum's art is far removed from any preconceived, stereotyped notions of korean art,
these sculptures from the east are symbols that fit a universal sense of contemporary aesthetics and that
remind us of the inevitability and increasing dependence of humans on high technology." luciana benzi
 
"it is not shocking or earth shaking, rather it is well-conceived, economic, fun and consistent.
this is unto itself if refreshing, originating in tradition and translated well for the present,
nuri gum's art will, no doubt, develop in to the future with the artist, at a steady,
well thought pace." paull simmons
 
 
exhibition
 
individual exhibition:
 
1977.5.30  'square variation', korea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82.9.17  'nuri 1982', fine arts center, seoul
1987.4.15  'nuri 1987', space gallery, seoul
1991.10.3  'nuri 1991', gallery meegun, seoul
1992.4.11  'gum,nuri', theodore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ronto
1993.10.09 'nuri gum and sang-soo ahn's double-solo exhibition', gallery on, seoul
1998.09.09 'gumnuri 0.027 years' gallery sai, seoul
1999.03.09   '공간의 본질과 관조의 거리' 부산, 시립미술관
1999.12.31   '1999.빠리.2000' 빠리, 샹제리제 대로
 
domestic exhibition:
 
1975.9.1    out-door sculpture exhibition, hong-ik univ., seoul
1976.2.17   kyaa exhibition,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seoul
1976.5.20   kyaa exhibition, jeonil gallery, kwangju
1976.8.2    camping for out-door works, beach of anmyeondo
 
1977.4.2    kyaa exhibition,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77.4.18   exhibition of 21 sculptors,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77.6.5    "sihyung", korea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77.12.19  exhibition of 24 experimental artists,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78.4.     kyaa exhibition, arts center, chuncheon
1978.5.     kyaa exhibition, arts center, chungju
1978.6.     kyaa exhibition, daejeon gallery, daejeon
1978.7.     exhibition of 21 experimental artists,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78.7.     summer exhibition for miniature,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78.9.14   the 25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seoul high school of
            music and art, king sejong cultural center, seoul
1978.12.2   kyaa exhibition,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1978.12.    the exhibition for founding korean young artists gallery,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79.6.     74-77 exhibition, korean young artist center, seoul
1979.8.1.   kyaa exhibition, kal hotel, cheju
1979.8.24   "sihyung", fine arts center, seoul
1981.12.18  kyaa exhibition, fine arts center, seoul
 
1982.5.     kyaa exhibition, arts center, chuncheon
1982.5.7    "sihyung", fine arts center, seoul
1982.6.11   exhibition of hong-ik sculpture association, 
            fine arts center, seoul
1982.8.2    'thinking practice', space gallery, seoul
1982.12.24  kyaa exhibition, fine arts center, seoul
 
1983.1.14   the opening exhibition of the 3rd gallery, seoul
1983.2.12   '83 young artist biennial exhibition,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seoul
1983.3.2    new opening exhibition of korean young artists gallery,
            korean young artists gallery, seoul
1983.3.9    exhibition of 30s' artists,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83.7.     drawing for environmental sculpture,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83.5.18   "sihyung",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83.5.24   the 3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seoul high school of music and art,
            king sejong cultural center, seoul
1983.7.20   kyaa exhibition,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83.8.31   modern sculpture of 11 artists, yun gallery, seoul
 
1984.1.11   new year miniature exhibition of kyaa,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84.3.21   esquisse for environmental sculpture,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84.6      esquisse for environmental sculpture, dong-in gallery, cheju
1984.8.3    kyaa exhibition, fine arts center, seoul
1984.12.12  winter miniature exhibition of kyaa,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85.1.30   new year miniature exhibition of kyaa,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85.6.17   sculpture exhibition for the opening of seoul press
            center, seoul press center, seoul
1985.10.19  kyaa exhibition, arts center, gangneung
1985.10.21  exhibition for founding korean sculptor association,
            seoul press center, seoul
1985.10.    the opening of jungangcheong subway station hall,
            jungangcheong subway station hall, seoul
1985.11.16  november exhibition of seoul-tokyo artists, hangang gallery, seoul
 
1986.4.18   exhibition of hong-ik sculpture association, 
            fine art center, seoul
1986.6.21   '86 honorary member exhibition of kyaa, 
            korean young artists center, seoul
1986.7.4    exhibition of 10 contemporary artists, 
            batanggol gallery,seoul
1986.9.11   "yehong", baeksang memorial hall, seoul
1986.9.16   kyaa exhibition, seoul gallery, seoul
 
1987.4.25   opening exhibition of sincheonji open-air museum, cheju
1987.5.25 korean contemporary sculpture, total open-air museum, jangheung 1987.6.13 memorial exhibition of architect kim, sugeun's death, space gallery, seoul 1987.8.14 "sihyung", fine arts center, seoul 1987.8.28 30/40, abstract with geometry, fine arts center, seoul   1988.12. kyaa exhibition,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1989.7.2 movement and lumiere in plastic art, hyundai gallery, seoul   1990.3.2 exhibition of hong-ik sculpture association, fine art center, seoul 1990.5.4 cheong-song outdoor sculpture exhibition, yonsei univ., seoul 1990.5.18 exhibition of korean sculptors' association, fine art center, seoul 1990.6.27 '90 modern sculpture exhibition, chohyung gallery, seoul   1990.9.8 exhibition of 10 artists for korean painting and sculpture, yungdong gallery, seoul 1990.09.17 전자카페 통신미술,서울+로스앤젤스, 안그라픽스 + 일렉트로닉 카페 1990.12.15 "image and abstraction", deko art center, seoul   1991.3.29 kwang-jang exhibition ,fine art center, seoul 1991.4.10 expansion for consciousness and representation, lotte gallery, seoul 1991.6.19 documentation in korea, front d.m.z, art center, seoul 1991.12.6 korean contemporary art exhibition, gallery meegun, seoul   1992.6.4 korean contemporary art,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1992.7.15 kwang-jang exhibition, yemek gallery, seoul 1992.7.23 contemporary plastic art, sincheonji open air museum, cheju 1992.9.4 korean sculptors, fine art center, seoul 1992.9.23 ecole de seoul, gwanhun gallery, seoul 1992.10.9 hangul, seorim gallery, seoul 1992.11.27 theo and pete collection, total museum, seoul   1993.8.11 documentation in korea. front d.m.z, citizen museum, seoul 1994.12.1 3030, kimnehyun gallery, seoul 1995.2.17 kwang-jang exhibition ,fine art center, seoul 1995.3.22 korean sculpture today, jongro gallery, seoul 1995.10.10 blue wave, seorim gallery, seoul 1995.12.11 jageun sculpture, yugyeong gallery, seoul   1996.3.1 hongik sculpture exhibition, fine art center, seoul 1996.10.7 city and image, citizen museum, seoul 1996.10.17 letters of the world, art center, seoul 1996.11.19 9th seongbug art, seongbug auditorium, seoul 1996.12.4 korean contemporary art: today and tomorrow, hong-ik univ.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1996.12.11 kwang-jang exhibition,in-sa gallery, seoul   1997.4.4 sang-soo ahn, bul lee, nuri gum, triple exhibition: 4.4 movement, sal museum, seoul 1997.8.1 seoul+nagoya three dimensional works, jongro gallery, seoul 1997.8.21 kwang-jang exhibition, won-seo gallery, seoul 1997.10.1 six artists of korean+japanese, mok-am gallery, goyang 1997.11.12 '97 kwang-jang exhibition, jongro gallery, seoul   1998.3.6 experimental exhibition about uncertainty, fine art center, seoul 1998.4.15 200 sculptors small works exhibition, sun gallery, seoul 1998.6.13 sculpture exhibition in performance art, national theater, seoul 1998.9.17 exhibition of bogoseo/bogoseo's 10th anniversary, manifesto for 0,1 century, sai gallery, seoul 1998.11.15 설치와 퍼포만스, 웃는돌 야외공연장, 죽산 1999.03.03 제30회 홍익조각회전, 서울, 서울시립미술관600년기념관 1999.09.04 동아시아 문자예술의 현재전, 서울, 예술의 전당 서예관 2000.06.15 관객설치 ,제6회 죽산국제예술제,웃는돌, 죽산     foreign exhibition:   1976.8.6 kyaa exhibition. balch institute museum, philadelphia 1979.2.13 kyaa exhibition, cite internationale arts, paris 1979.3.21 salon surindependants, luxembourg museum. paris 1981.3.26 exhibi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tists, korean cultural center, paris   1984.2.27 cross section of korean contemporary sculpture, korean cultural center, tokyo 1984.8.2 exhibition of hong-ik sculpture association for the 23th olimpiad, korean cultural center, los angeles. 1986.4.7 6 artists exhibition of seoul contemporary art, gallery k, tokyo   1989.2.14 korean contemporary arts, museum of modern art, mexico city 1989.3.30 contemporary art auction for the benefit of the safeguard of venice and great wall of china, drouot-montaigne, paris 1989.4. korean contemporary arts, monterrey museum, mexico city 1989.5.6 contemporary art auction for the benefit of the safeguard of venice and great wall of china, palace of the museums, beijing   1990.09.17 전자카페 통신미술,서울+로스앤젤스, 안그라픽스 + 일렉트로닉 카페 1991.12.6 korea contemporary art exhibition, vasareley center, aix-en-provence 1994. art exhibition for books, warsaw, berlin 1996.8.27 seoul+nagoya three dimensional works exhibition, citizen gallery, nagoya 2000.01.15 머리조각 ㅇㅅㅅ 전, 서울,파사데나,델아비브, 안상수 머리   design   typeface: 1991.2 invented.three.dimensional .한글.korean.letter.named.' 금누리.gumnuri ' 1993.10 invented.moving .한글.korean.letter.named.'구름.gureum' 1995.5 invented.writing.method.in.korean.named.'두루쓰기.durussugi'   stage design: 1975.9.26 opera "faust", national theater, seoul, 1977.10.1 opera "l'elixir d'amour", national theater, seoul,   logo type : weekly design news, 디자인뉴스, 1991   book cover design: 무역정책론, hwang,nam-il , lee,hong-moo   monthly 'design' 1996.11   무역보험의 이론과 실제, hwang,nam-il , lee,hong-moo seoul. trade management publishing 1997   literary: ·nuri 1982 madang 19820815 gumnuri ·gumnuri, ahn graphics 19870415, gum,nuri+hong,guye ·gumnuri 1991, ahn graphics 19911003, gum,nuri+jung,young mok ·nuri gum sculpture, theodore museum of contemporary art 19920411 gum,nuri+j.curia ·ㄱ.o bogoseo₩bogoseo -8, ahn graphics, 19931006, gum,nuri+ ahn,sang-soo ·design dictionary, ahn graphics, 19941131, gum,nuri+68   collection   public collection: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mogpo sculpture park, mogpo sincheonji open-air museum, cheju total open-air museum, jangheung gaemong cultural center, seoul ahn graphics co.,ltd, seoul national bank of korea, seoul   hyun-dai insurance co.,ltd, incheon nag-dong riverside park, busan theodore museum of contemporary art , toronto minister of cultural affairs, seoul vasareley center, aix-en-provence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hong-ik univ., seoul college of architecture and design, kookmin univ.,seoul   personal collection:   hyundai gallery, seoul parkyeosuk gallery, seoul gallery meegun, seoul     monument planning involvement:   2000 seoul city planning research team member on plastic art part, K plastic art reseach institute, 1977 korean independence hall exhibition planning member, korean independence hall committee, 1984 olympic bridge naming competition planning & committee member, woobo techiniques co.ltd sepia world expo korean exhibition designing advisor, 1991 seoul city 2nd subway station design review board member, 1993 daegu city subway station design review board member, 1994 inchon city subway station design review board member, 1994 kepco water resources exhibition hall advisory board member, 1994 daegu police dept. enviromental sculpture advisory board member, 1996.3.28 the 2nd autodesk computer design contest judge, 1996 kwangju city subway station design review board member, 1997 the 3rd autodesk computer design contest judge, 1997 the 4th korean computer design competition judge, 1998.2.25   special lecture:   gumnuri's works and environmental sculpture, for architecture's group keumu, techno, seoul is from seeing correcting? is from as if looks?, for korean interior design committee, kbs hall, yangpyung environmental design for millitary officers, korean war memorial hall, seoul is from seeing correcting in space? for high school teachers, national museum of comtemporary art, gwacheon the wise eye, for architecture graduate students and professors, kyunggi univ.,seoul, plastic change in scientific thought, for designers, ahn graphics, seoul on bogoseo/bogoseo, for student and professor, kaewon plastic art school, seoul visual language, for student and tutor, seoul school of architecture, seoul, 1995.3.7 the inteligent eye, for architecture students and professors, seowon univ., cheonan, 1995.12.5 contemporary art, marketing graduate student at kookmin univ., seoul, 1996 the inteligent eye and understanding art, marketing graduate school, dankook univ., seoul, 1997 gumnuri's plastic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whangi gallery, seoul, 1998.5 디지탈 시대의 조형적 사고, 국민대 테크노디자인대학원, 2000.3 디지탈과 문화, 30,40대 지도층, 새사회네트워크, 2000.3.20 새로운 발상을 향해, 미술인과 애호가 대상, 환기미술관, 2000.5.20 건축가는 어디에 있어야 하는가, 한국건축학교, 2000.6.26   article:   the stydy on art in the environment, m.a. at hong-ik university, 1979.2.   three-dimensional transformation by continuous transference of plane forms,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seoul, 1983.2   optical illusion-assimilation between cubic form and plane-form in space,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84.3   kinetic art as environmental art,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85.2   study on perception of cubic form,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86.3   the study of art in the enviroment,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87.3   a study on the express method of cubic form,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89.3   a study on the form perception and space by movement,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90.3   a study of the cubic letter and sign for the new style named gumnuri,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91.2   a study of the plastic transportation of scientific thinking,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92.2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plastic volume and surface,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94.2   new study for four dimensional letter style named 'gureum',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95.2   a study of experimental thinking on plastic art in electronic age,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96.2   a study of invisible perception by electronic letter,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97.2   the study of using international standard key-board, design review,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98.2   artist, professor   g n ri u u m,   금누리